티스토리 뷰

ETF 투자를 고민하고 계신 분들에게는 완벽한 가이드를 해드리겠습니다. 국내 증권사를 활용하여 종목별 어떤 ETF를 담아야 하는지, 장기투자를 생각하시는 분들에게는 적절한 ETF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ETF 기초정보

ETF는 Exchange Trade Fund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라고도 말합니다. 주식과 펀드의 장점을 합쳐 놓은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식처럼 장중에 실시간으로 거래가 가능하며, 펀드보다 수수료가 낮으며 소액투자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ETF는 분산투자를 하고 싶은데 종목 선정에 어려움을 겪으신 분들에게 적합하며, 노후자금으로 적립식 투자를 하고 싶으시다면 강력추천입니다. 또한, 주식 종목이 아닌 다양한 투자를 하고 싶으시다면 ETF가 딱입니다. 마지막으로 적은 돈으로 많은 종목에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런 ETF를 국내 시장에서 투자를 하고 싶은데 어떤 종목을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시라면 아래 세 가지 ETF에 대해서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노후를 바라바고 장기투자 관점에서 꾸준히 투자하신다면 분명히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합니다.

 

장기투자를 위한 종목 선정 : 코스피 지수추종 ETF

코스피는 지수추종 ETF로 KODEX 200 ETF(069500)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KODEX가 의미하는 것은 ETF를 운용하는 자산운용회사를 뜻하는 말인데 KODEX는 삼성자산운용의 브랜드입니다. 이 ETF는 우리나라의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200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ETF입니다. 코스피 200 지수를 추종하며 대한민국 코스피 중에서 선별하여 200개 종목에 투자하기 때문에 전체 시장에 투자하는 것보다는 조금 더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 대표 주식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 삼성 SDI, 현대차, 네이버, 카카오 등 대기업 주식들이 주로 편성되어 있는 주식입니다. 총자산은 60,920억 원이며, 매 분기마다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 총 보수 0.15%입니다.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분배금 재투자로 복리효과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종목들 대부분 이름난 기업들에 투자하는 것이므로 큰 우량주에 자연스럽게 분산투자가 될 수도 있고,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큰 변동성 없이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장기투자한다면 성공할 수 있는 안전한 투자 방법입니다.

 

종목별 주가 확인

 

미래성장을 위한 종목 선정 : 국내 반도체 ETF

미국 주식시장에서 2023년 상반기를 이끌었던 엔비디아 그리고 영국 반도체 설계기업 ARM의 IPO상장 등 미래모빌리티 전환을 위한 반도체 시장의 성장은 무궁무진합니다. 이러한 미래 성장을 위한 국내시장의 반도체 종목들을 모아둔 ETF가 KODEX반도체 ETF(091160)입니다. 이것 역시 삼성자산운용사에서 운용하는 ETF입니다. KODEX 반도체는 국내 반도체 산업 전반에 투자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최근 지수 종목 정기변경을 통해 HBM 반도체 분야의 글로벌 1, 2위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40% 수준까지 편입시켜 AI반도체의 상승세와 장기적인 이익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투자자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 두 개의 종목 외에 한미반도체, DB하이텍, 주성엔지니어링 등 반도체 관련 기업들의 주식이 편성되어 있습니다. 총자산은  5,283억 원이며, 매 분기 분기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총보수는 0.45%입니다. 반도체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시는 분들에게는 한 번 생각해 볼 만한 ETF이며, 위험등급이 1등급인 만큼 리스크가 동반된 ETF이므로, 안전투자를 원하시는 투자자들은 고민해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안정성을 위한 종목 선정 : 금/달러 ETF

마지막으로 금ETF 투자를 위한  KODEX 골드선물(H)(132030)입니다. 여기서 H는 환헷지 상품으로 환헷지는 환율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환율변동이 심할 때는 환헷지 상품이 좀 더 안정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상품은 금 현물이 아닌 선물에 투자하는 개념으로 국제 금 가격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소액 투자로 인플레이션 헷지가 가능합니다. 총 자산은 1,728억이고, 분배금은 없습니다. 총보수는 0.68%로 다소 높은 편입니다. 금투자는 경제위기가 왔을 때 방어하는 수단이므로 안전성을 보시고 판단해 보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달러 투자를 위한 KODEX 미국달러선물(261240)입니다. 달러화 자체에 투자하는 ETF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KRX 미국달러선물지수의 일별수익률의 배수를 추종하는 ETF로서 한국거래소에서 산출하는 원/달러 환율과 거의 유사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개인의 비과세 계좌를 통해 미국 달러를 직접 매입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총자산은 664억이며, 분배금은 없으며, 총보수는 0.25%입니다. 이렇게 금 달도 우리가 직접 가져가지 않아도 ETF 상품을 통해 가져갈 수 있다는 점은 큰 장점입니다.

 

마무리

오늘은 국내시장 ETF 중 카테고리별 종목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장기투자 목적, 미래성장성, 안정성에 관점에서 본인 성향에 맞는 ETF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썸네일
썸네일